보고서
Korea Live-Work-Shop Report (국문)
2023 년 06 월 20 일
보고서 PDF 다운 받기
CBRE가 실시한 설문 조사를 통해 코로나19 이후 생활, 업무, 소비 방식에 대한 다양한 변화가 관찰됐으며, 이러한 트렌드가 임대인 및 임차인의 관점에서 부동산 시장에 미칠 영향에 대해 분석하고 선제적으로 대응하고자 한다.
Live 주거
- 응답자의 46%가 향후 2년 내 이사를 계획하는 것으로 나타나며 주거지 이전 수요가 확대됐다. 특히, 글로벌 대비 국내 응답자에서 도시 중심부 선호 현상이 두드러졌다.
- 이사를 계획하고 있는 응답자의 65%는 주택 매입을 희망하면서 견고한 자가 구매 수요가 나타났다. 투자 수요 및 문화적 요인이 반영되면서 높은 주거 매입 의사를 보였다.
- 팬데믹으로 인해 건강과 안전에 대한 경각심이 높아지며 주택 선택 기준이 변화하고 있다. 안전 점검, 위생 관리 등 전문적인 빌딩 관리 서비스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으며, 친환경 주거 시설도 주목을 받고 있다.
Work 업무
- 코로나19 이후 원격 근무가 확대되는 가운데, 대다수 근로자가 지속적으로 오피스 출퇴근 위주의 근무를 지속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전반적인 오피스 수요 측면의 영향은 제한적일 전망이다.
- 오피스 위치와 무관하게 20% 내외 수준의 낮은 업무 만족도가 관찰됐다. 교통 및 접근성 관련해 근무 만족도가 상대적으로 저조한 한편, 오피스에서 제공하는 업무 시설 및 프로그램에 대한 선호가 확인됐다.
- 방역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직원들의 오피스 출근을 장려할 수 있는 가장 중요한 요인은 건강 및 웰빙 요소로 조사됐다.
Shop 소비
- 온·오프라인을 아우르는 옴니채널 주도의 소비가 확대되는 한편, 주요 판매 채널로서 물리적 점포의 필요성은 지속될 전망이다.
- 국내 소비자의 대다수는 가계 재정 상황에 대해 단기적으로는 현 수준 이상으로 유지될 것으로 전망했다.
- 기후 변화와 팬데믹을 경험하며 환경 및 지속가능성에 대한 소비자의 의식이 확대되었고, 환경 보호에 기여하고자 하는 의지가 높은 소비자의 부상으로 친환경 소비 트렌드가 강화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