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고서 | 전략적 투자 자문

2025 국내 상업용 부동산 시장 전망

2025 년 01 월 23 일 14 분 Read

보고서 PDF 다운 받기

거시경제

2025년 한국 경제는 작년에 이어 올해도 성장이 둔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한국은행의 기준금리는 지난해 말 두 차례 인하에 이어 올해 추가 인하 기조를 이어갈 것으로 전망되지만, 그 속도는 국내외 경제 상황에 따라 크게 좌우될 것으로 전망한다.

 

오피스

제한적 공급이 지속됨에 따라, 서울 A급 오피스 시장의 임대료는 상승폭 둔화에도 불구하고 양(+)의 성장을 이어갈 것으로 전망된다. 마곡 등 3대 권역 외 대규모 오피스 공급은 시장 수요의 이동을 촉진할 것으로 예상한다.

 

리테일

2025년 리테일 시장은 고물가와 내수 침체 가운데 가성비를 추구하는 소비 트렌드가 더욱 확산될 것으로 예상된다. 가두 상권별 전망이 상이한 가운데, 외국인 관광객 회복에 힘입어 명동을 포함한 주요 전통 상권의 공실 감소가 기대된다.

 

물류

2024년 대규모 공급이 지속된 가운데 수도권 A급 물류시장의 공실률은 23%로 상승하였다. 2025년에는 공급이 큰 폭으로 감소세 전환하며 과잉 공급 우려가 점차 완화될 전망이나, 과거 누적된 공실 면적이 완전히 해소되기까지는 시간이 소요될 것으로 예상된다.

 

투자

금리 인하에 따른 상업용 부동산 시장의 완만한 회복이 기대되는 동시에 거시 경제에 따른 변동성 높을 것으로 전망한다. 수익률은 보합세가 이어지는 가운데 물류 시장의 경우 자산에 따라 수익률 격차가 확대될 것으로 예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