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고서 | 전략적 투자 자문

2025 한국 투자자 의향 설문조사

2025 년 03 월 25 일 10 분 Read

보고서 PDF 다운 받기

2025년 상업용 부동산 투자 활동은 2024년에 이어 활발할 것으로 예상된다. 현재 다수의 딜이 진행중이며, 특히 오피스 시장을 중심으로 두드러진 투자 활동이 예상된다. 이에 따라 2025년 상업용 부동산 거래 규모는 2024년과 유사하거나 소폭 증가한 수준을 달성할 것으로 전망한다.

 

한국 응답자의 약 79%가 올해 투자 비중을 늘리거나 유지할 계획이라고 밝히면서 타 시장 투자자 대비 적극적인 투자 기회를 모색할 것으로 보이는 한편, 이는 금리 하락에 따른 차입 비용 인하와 합리적인 가격 조정을 전제하고 있다.

 

올해 국내 투자 시장의 가장 큰 어려움은 매도자와 매수자 간의 가격 기대 차이로 나타났으며, 이는 향후 거래 장기화의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한편, 전반적인 자금 조달 환경이 작년 대비 개선될 것으로 기대되는 가운데, 엄격한 은행 대출 심사에 대한 투자자 우려는 작년 대비 증가했다.

 

오피스는 전통적으로 국내 투자자가 가장 선호하는 자산이었으나, 유동성 부족, 신규 공급 과잉 우려 등으로 인해 선호도가 감소했다. 우량 물류센터에 대한 투자 의향은 여전히 높은 가운데 사회 구조적 변화에 따라 호텔, 데이터센터, 코리빙 등 대체 섹터에 대한 관심도 크게 증가했다.

 

유동성 부족 현상이 이어지는 가운데, 중위험·중수익의 부동산 대출형 펀드 선호도는 다소 낮아진 반면, 우선주 에쿼티 투자 수요는 증가하고 있다. 대출 시장에서는 안정성을 중시한 선순위 투자 선호도가 높게 관찰되어 왔으나, 금년은 보다 높은 수익률을 기대할 수 있는 메자닌 파이낸싱에 대한 관심이 더 두드러졌다. 

 

금년 추가적인 금리 인하 기대가 현실화 될 경우, 주요 우량 자산을 중심으로 수익률 하락 압박이 발생할 수 있다. 다만 자산의 성격과 컨디션에 따른 수익률 격차가 두드러질 것으로 예상되며, 2025년 전체 시장의 평균 수익률 변화는 당분간 현재 수준을 유지하며 보합세를 나타낼 것으로 전망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