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고서
이커머스 성장에 따른 상업용 부동산 시장의 변화 및 탄력적 대응을 위한 전략 제언
2023 년 01 월 02 일
온라인 리테일 시장의 주요 성장 동인

코로나19로 인한 사회적 거리 두기 및 오프라인 활동에 대한 부담은 비대면 서비스에 대한 수요 증가와 체험으로 이어지며 소비자의 소비 패턴 전환 및 유통채널의 변화를 가속화했다.
리테일 시장의 옴니채널화로 오프라인 기반의 유통 및 제조 등 다양한 기업이 온라인에 진출하며 온라인 리테일 시장 거래 제품의 범위가 확대되고 있다.

IT 기반 포털사이트의 이커머스 진출은 최근 온라인 소비 시장의 주요 성장 동인으로 작용했다. 소비자 검색어 기반 다양한 트렌드 분석이 가능한 독보적인 강점을 바탕으로 판매자에게 상품관리, 마케팅 및 배송 전략 솔루션을 제공하며 상생을 도모하고 경쟁력을 강화하고 있다.
대표적으로 국내 포털사이트 네이버는 2001년 네이버쇼핑 출범을 기점으로 스마트스토어에 이어 최근 쇼핑라이브 등 다양한 서비스를 확장하면서 유통 시장을 온라인 플랫폼 기업 중심으로 재편하고 있다.

이커머스 기업은 충성고객을 유치하고 안정적인 수익모델을 확보하기 위한 전략으로 정기구독 모델을 도입했다. 대표적인 유료 회원제로는 쿠팡의 ‘와우멤버십’ 및 네이버의 ‘네이버플러스 멤버십’이 있다.
2021년 기준 정기 배송형 유료 구독 서비스 이용률은 전년도 대비 34% 증가했다.* SK텔레콤은 국내 구독 경제 시장은 2025년까지 2배 이상 성장한 100조 원대 규모를 달성할 것으로 전망됨에 따라, 이는 향후 이커머스의 시장의 견고한 기반 수요가 될 것으로 보인다.
*한국리서치, 여론 속의 여론
보고서 PDF 다운 받기
글로벌 경기 불확실성의 확대에 따른 성장 모멘텀 약화로 금년 리테일 시장에 대한 단기적인 성장세 둔화가 우려되는 가운데, 식품과 생활용품 등 특정 카테고리에 특화된 전문 쇼핑몰을 중심으로 온라인 소비 비중의 성장은 지속될 것으로 전망한다.
리테일러의 매장 효율성 제고와 함께 오프라인 매장의 기능이 확대되고 있으며, 이에 따른 오프라인 점포 전략도 다양화되고 있다. 한편, 브랜드 신뢰도와 충성도를 높이기 위한 온라인 플랫폼의 오프라인 진출 또한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
2022년 온라인 소매판매액 성장 모멘텀이 다소 약화된 가운데, 이커머스 기업의 물류 수요는 최근까지 견고한 성장을 보인 것으로 조사됐다. 물류센터 효율화 및 이커머스 기업별 운영 전략에 따라 향후 확장세는 지역별로 상이할 수 있으나, 증가하는 물량 및 시장 진출 확대를 위한 추가적인 물류센터 수요는 지속될 것으로 예상된다.
온라인 쇼핑 시장의 성장 및 관련 기업의 사업 영역 확대로 최근 서울 주요 권역 내 A급 오피스 대상 IT 기반 리테일 기업의 신규 임대차 활동 비중이 증가했다. 특히, 우수 IT 인력이 집중되어 있는 강남권역에 대한 임차 수요가 두드러졌다.